이주연은 영상과 드로잉, 가변 설치, 텍스트를 통해 사회적 고립, 여성의 신체 정치학, 기술 발전에 대해 탐구하고 시각적으로 구성한다.

Jooyeon Lee studies and visually composes about social isolation, women’s body politics, technological progress through moving images, drawings, installations and writings.



MORE
CV
Email
골든 위크 (렉쳐 퍼포먼스) Golden Week (Lecture Performance)



아카이브 설치와 렉쳐 퍼포먼스, 15’00”, 2018

골든 위크는 2018년 골든 위크* 기간에 도쿄에서 일어났던 사건들을 수수께끼처럼 제시하는 렉쳐 퍼포먼스이다. 퍼포먼스가 이루어지는 장소 안에는 일련의 파운드 오브젝트들과 오버헤드 프로젝터가 설치되어 있다. 퍼포먼스가 진행되는 동안 관객들은 작가가 고미야시키**라는 현상을 과학 실험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해당 퍼포먼스는 고미야시키에서 지내던 일본의 친구에게 작가가 보내는 일종의 편지글이며, 관객들에게 사회 속에서 고립된 개인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스크립트 아카이브

*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의 일본의 연휴 기간.
** 저장 강박 또는 저장 강박적 가구를 부르는 일본어 호칭
Archived installation and lecture performance, 15’00”, 2018

Golden Week is a lecture performance that mysteriously illustrates the event in Tokyo during the Golden Week* of 2018. The performance is equipped with particular found objects and an overhead projector. As the performance begins, the audience slowly recognises that the artist is metaphorically explaining Gomiyashiki** as a scientific experiment. It is a sort of a letter to a friend of the artist, who was confined in Gomiyashiki in Japan. This performance lets the audience think about an isolated individual in modern society. Script Archive

*National holiday of Japan, through late April to early May.
** A Japanese term referring to compulsive hoarding or the hoarder’s 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