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개미를 보는 사람




























개미 같은 사람과 개미를 보는 사람이 있다. 과학 실험 키트 속의 개미들은 흙이 아니라 파란색 젤리 속에서 자란다. 나는 아파트와 빌딩들의 불 켜진 창문을 보면서 파란색 젤리가 들어 있는 플라스틱 통을 생각한다. 플라스틱 통을 흔들면 뭉크러져 무너지는 개미의 방. 젤리를 통에서 헤집어 꺼내 놓으면 개미 사체가 점점히 박힌 채 퍼져가는 덩어리. 개미를 보는 사람은 개미의 방 속에 직접 들어갈 때도 있고, 안 들어갈 때도 있다. 개미의 방에 들어갔는데 그것은 흔들리는 통 속. 나 또한 개미의 사체와 함께 파란색 젤리에 점점히 박혀져 나오고. 개미 같은 사람과 개미를 보는 사람이 있다. 플라스틱 통이 흔들려 죽을 것을 두려워하면 개미가 될 수 없다. 개미가 되지 못하면 파란색 젤리의 끈적거림을 느낄 수 없다. 끈적거리는 가짜 땅에 발을 대지 않고는 모르는 것들이 있다. 개미 같은 사람과 개미를 보는 사람이 있다. 너는 개미 나는 개미를 보는 사람.

(2019)


이주연은 사회적 고립, 국경을 넘는 친밀감, 노동 불안정, 기술 발전, 산업 독성학과 몸 정치학 등을 포괄한 광범위한 리서치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분석적이면서도 시적인 논픽션 무빙 이미지를 연출한다.

Jooyeon Lee works with analytical yet poetic non-fiction moving image with expansive research and interviews to capture urban alienation, intimacy across borders, labour precarity, technological progress, industrial toxicology and body politics.


MORE

CV
Email
random